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건 평점? 베스트 리뷰? 평점 5점에 베스트 리뷰 평이 좋지 않은 제품과 평점 4.5점에 베스트 리뷰 평이 좋은 제품. 둘 중 어떤 제품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사안이죠. 그렇다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런 상황에서 평점과 베스트 리뷰 둘 중 어떤 걸 더 신뢰했을까요? 베스트 리뷰라는 점이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베스트 리뷰가 평점의 영향력을 일부 상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요. 연구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베스트 리뷰, 구매에 결정적 역할...평점 영향도 상쇄 이 같은 사실은 미국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의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에 게재됐습니다. 연구팀은 온라인 고객의 구매 과정에 영향을.. 더보기 콩깍지는 애인의 잘못된 행동에도 씐다 # A양은 친구인 B양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바람을 핀 남자친구를 용서했기 때문이죠. B양은 ‘술에 취해 판단력이 흐려져 벌어진 일’이라며 남자친구를 옹호하기까지 했습니다. A양이 아는 B양은 도덕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사람입니다. 스스로에게는 엄한데, 남자친구에게는 관대한 잣대를 두는 이유를 A양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B양이 신뢰를 저버린 남자 친구와 관계를 이어가려는 것이 친구로서 안타까울 뿐입니다.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답이 뻔히 보이는 데 친구는 다른 선택을 하는 것을 보며 ‘쟤 왜 저러지’, ‘콩깍지가 단단히 씌었군’이란 생각해본 적 누구나 한번쯤은 있을 겁니다.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애인이나 친한 지인이 잘못된 행동을 할 경우 우리는 도덕적 가치와 관계의 유지, 두 가지를 놓고 격렬한 내.. 더보기 [심리학] 성실한 사람, 코로나19 백신 접종 주저한다? 백신을 맞는 사람과 주저하는 사람은 각각 다른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그렇다고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백신 접종을 지지하는 사람은 ‘심리적 자본’, ‘외향성’ 등의 특성을 보였고 접종을 주저하는 사람은 ‘성실성’, ‘사이코패시(반사회적 인격장애)’, ‘나르시시즘(자기도취증)’ 성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납득이 가면서도 일부 의아한 부분이 있는 결과인데요. 연구 결과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성실성, 접종 주저하는 성향으로 드러나...이유는? 이번 연구는 미국 사우스 앨라배마 대학교 하워드 교수가 주도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에 발표됐습니다. 연구에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성인 590명이 참여했.. 더보기 “저 사람 화났나?”…고혈압 남성, 분노 자주 인지한다 고혈압일 경우 복합적인 감정에서 유독 분노를 자주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다른 사람의 표정에서 분노의 감정을 과대해석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죠. 분노를 자주 인지하는 경향은 혈압 상승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고혈압 남성, 복합적인 표정서 분노 읽어 이런 사실은 독일 콘스타츠 대학교의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에 게재됐습니다. 연구에는 본태성 고혈압 및 정상혈압 남성 145명이 참여했습니다. 참여자들은 사진 속 사람의 감정을 판단하는 테스트를 치렀습니다. 사진 속 사람들은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있었습니다. 이를테면 분노와 슬픔, 분노와 기쁨, 분노와 두려움 등이 섞인 표정을 짓고 있었죠. 연구.. 더보기 “머리가 좋구나”…아이에게 독이 될 수 있는 칭찬 아이가 조금만 두각을 나타내도 칭찬으로 보상해주고 싶은 게 부모 마음이죠. 그러나 ‘머리가 좋다’, ‘똑똑하다’ 등의 칭찬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똑똑하다는 소리를 듣고 자란 아이는 배움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거나 커닝과 같은 부정행위에 유혹될 수 있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 것이죠. 지능에 대한 칭찬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살펴볼까요? 지능에 대한 칭찬, 포기하는 성향 초래할 수도 먼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등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능에 대한 칭찬은 아이의 동기와 성적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똑똑하다는 칭찬을 들은 5학년 학생들은 노력에 대한 칭찬을 받은 학생들과 비교해 실패를 경험한 후 업무에 대한 일관성, 흥미, 성과 등이 상대적으로.. 더보기 작심삼일 그만…좋은 습관 쉽게 들이는 방법은? 습관은 과거에 특정 행동을 반복 실천한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됩니다. 이런 경험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행동이 습관으로 자리 잡는 것이 어렵습니다. 좋은 습관을 들이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죠. 그렇다면 새로운 습관 혹은 좋은 습관을 보다 빠르고 쉽게 들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상상, 현실이 된다. 창의력을 발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상상력을 동원하는 방법이 도움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일례로 친구에게 컴퓨터 파일을 보내주기로 약속한 상황을 가정해보죠. 단순히 ‘집에 도착하면 친구에게 파일을 보내줘야 해’라고 되뇐다면 잊어버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신 머리 속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겁니다. 집에 도착해 컴퓨터를 켜서 친구에게 파일을 보내는 상황을 그려보는 겁니다. 이처럼 상황과 관련된 .. 더보기 스마트폰 사용, 문해력 저하…'한숨'의 힘은?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책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이런 전자기기들 덕에 무거운 책을 들고 다닐 필요가 줄었지만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바로 문해력 저하입니다.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로 글을 읽으면 책을 읽을 때 보다 글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것이죠. 스마트폰, 문해력 둘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 걸까요? 스마트폰, 문해력 저해 스마트폰 사용과 문해력과의 연관성은 일본 쇼와 대학교 모토야스 혼마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문해력 연관성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습니다. 연구에는 일본 대학생 34명이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뇌 기능을 측정하는 근적외선분광(NIRS) 밴드 및 호.. 더보기 행복하기 위한 방법..."완벽해지지 마세요" 하루를 시작하는 기분은 날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날은 기분이 가라앉았다가 어떤 날은 행복함을 느끼고 의욕이 넘치죠. 매일 행복한 기분으로 하루를 열 순 없을까요?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마음 가짐에 따라서 그날의 기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연구결과들을 통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행복한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방법들을 살펴볼까요? 사람들과 교감하라 혼자만의 시간이 주는 이점이 있습니다. 남에게 방해받지 않고 자신에게 오롯이 집중할 수 있어 평안함을 느낄 수 있고 자아성찰의 기회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말이 있죠. 다양한 연구결과를 통해 친구 또는 사람들과 교감하는 것이 기분을 전환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런 방법은 내향적이거나 불안장애 등.. 더보기 이전 1 ··· 72 73 74 75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