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좋은 대화를 이끌어내는 2가지 자세 ‘말 한마디에 천냥 빛 갚는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만큼 좋은 말과 대화가 갖는 힘은 엄청납니다. 이쯤에서 궁금한 점이 생기는데요. 좋은 대화 기술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좋은 대화를 이끌어내는 자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화자보단 청자가 되기 ‘좋은 대화의 시작은 상대방 말에 귀 기울이기’라는 격언이 있습니다.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죠. 잘 듣는 자세는 어떤 가치와 관련이 있을까요? 연구에 따르면, 겸손함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겸손함이란 곧 △상대방의 강점을 인정하고 △피드백과 건설적인 비판에 열린 자세를 갖고 있으며 △타인의 존재 가치를 잘 알고 있음을 뜻합니다. 좋은 청자가 되기 위해선 한 가지.. 더보기
서류 광탈이 고민? 좋은 이력서·자소서 꿀팁 5가지 서류전형에서 계속 고배를 마신다면 자기소개서 및 이력서와 관련해 보완해야 할 점이 있다는 의미인데요. 어떻게 개선시킬 수 있을까요? 미국 비즈니스 전문 매체인 Entrepreneur는 좋은 자소서 및 이력서를 쓰는 팁 5가지를 소개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성과 위주로 기술하기 자신의 경쟁력을 뽐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업무를 통해 이룬 업적이나 성과겠죠. 눈에 띄는 이력서가 되려면 달성한 것들을 위주로 기술할 필요성이 있어요. 이력서를 읽는 인사담당자 입장에선 지원자가 관련 직무에 얼마나 잘 적응할지 알고 싶어 합니다. 나아가 그 자리에서 좋은 성과를 내줄 사람인지도 궁금해하죠. 지금껏 쌓은 업적이나 실적을 잘 보여준다면 인사담당자의 궁금증은 사라질 겁니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설명.. 더보기
“왜 인기가 없을까?”…고립 자초하는 성향 7가지 왠지 가까이하기 싫은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주로 어떠한 성향을 가지고 있을까요? 심리학 분야 전문가들이 꼽은 ‘굳이 친해지고 싶지 않은 사람’의 성향은 7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자기중심적인 태도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점은 상호작용이죠. 대화도 상호간에 오고 가야 할 맛이 나는 법입니다. 그러나 자기중심적인 사람은 대화를 할 때 본인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상대방의 감정이나 말은 그다지 신경쓰지 않죠. 대화가 재미없고 지루해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불안정함 내면이 안정적이지 않은 사람은 스스로에 대한 확신이 낮죠. 그래서 자꾸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상대방에게 자신에 대해 물어보는 행동 등을 자주하게 되죠. 또 다른 특징은 빠른 리액션인데요.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말에 빠르게 동의나 수긍.. 더보기
“부자 되는 법 어디 없나?”…돈 부르는 연습해보세요 부자가 되는 것, 모든 사람들의 꿈이죠. 이 꿈을 이루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미국의 비지니스·창업 전문 매체 Entrepreneur는 ‘돈을 부르는 연습’을 소개했습니다. 이 연습을 꾸준히 하면 ▲스스로 세운 목표가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돈 버는 방법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며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중요한 점은 꾸준히 여러 번 시도하는 것인데요. 한 두 번에 그치지 말고 다양한 시도를 통해 좋은 아이디어들을 많이 수집하는 게 핵심 포인트입니다. 돈을 부르는 연습을 1단계부터 6단계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두뇌 회전이 빠른 시간대 찾아내기 하루 중 창의적인 생각이 가장 잘 떠오르는 시간대를 찾아내는 게 첫 번째입니다. 누군가는 아침에 두뇌 .. 더보기
거부할수록 선명해지는 불편한 감정, 해결책은? 누구나 한 번쯤은 잠들기 전 갑자기 예전 일이 떠올라서 이불킥을 하기 마련이죠. 이처럼 불쑥 찾아온 부정적이고 불편한 감정은 기분을 망치는 요인입니다. 참 신기한 건 불편한 감정을 그만 느끼고 싶다고 거부할수록 왠지 더 선명해지는 것 같죠. 왜 그런 것일까요? 거부할수록 자주 경험하는 불편한 감정 불편한 감정들은 거부할수록 자주 느끼게 되는 아이러니함이 있다고 합니다. 학술지 Emotion에 게재된 호주 멜버른 대학교 등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밝혀진 사실입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분노, 불안, 수치, 슬픔, 두려움 등 불편한 감정을 얼마나 느끼는지, 그리고 그 런 감정을 얼마나 거부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계획했습니다. 실험에는 18 ~ 40세 여성들이 참여했습니다. 참여자들은 스마트폰 애플리케.. 더보기
매력적인 외모가 풍긴 인상은 '다정함' 외모에서 다정함이 묻어나는 사람과 경쟁력이 엿보이는 사람. 둘 중 누가 더 사람을 끌어당기는 매력이 더 클까요? 쉽게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뇌는 답을 알고 있습니다. 매력적인 외모가 대변하는 건 다정함 여성들은 매력적인 외모를 보면서 다정함을 느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술지 Social Neuroscience에 소개된 중국 서남대학교 등의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사실인데요. 연구에는 평균 연령 20세의 여성들이 참여했습니다. 참여자들 낯선 사람들의 얼굴을 보고 매력도를 평가했습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이 매력적이라고 평가한 외모는 대체적으로 다정함 또는 경쟁력 등의 특징을 담고 있었습니다. 굳이 우열을 가리자면, 매력적인 외모는 경쟁력보단 다정함에 더 가까운 .. 더보기
'불안' 해소하는 씻기 효과..."기대 이상인데?" 저는 샤워로 하루를 마무리하는 편입니다. 땀, 먼지 등을 씻어내면 개운한 기분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죠. 무엇보다 정신적인 측면이 커요. 샤워를 하고 나면 종일 어깨를 짓누르던 스트레스, 불안감이 한층 해소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샤워 등 씻는 행위가 주는 평안함, 단순히 저의 착각일까요? 씻는 영상만 봐도 불안감 해소 생각 이상으로 씻는다는 행위가 주는 불안감 해소 효과는 클 수 있어요. 학술지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에 게재된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등의 연구 결과에서 잘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씻는 행위가 불안감 해소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몇 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에는 성인 1천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참여자들은 번지점프를 앞두고 불.. 더보기
행복한 순간 만끽하려면? 자신에게 친절해지기! 나이가 들며 행복의 순간을 즐기기 쉽지 않아졌습니다. 고대하던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때 조차 ‘업무를 위해 미리 해 둬야 할 게 있는데..’ 등과 같은 걱정거리가 가시지 않습니다. 응원하는 팀이 승리를 하거나 우승을 하더라도 기쁨과 감동이 예전보다 크지 않더라구요. 어릴 땐 세상을 다 가진 기분이었고 며칠동안 이런 기쁨에 젖어 있곤 했는데 말이죠. 순수한 마음으로 행복의 순간을 만끽하는 경험, 다시 느끼긴 어려울까요? 자기자비가 해답일 수 있습니다. 자기자비, 행복의 순간 즐기도록 돕는다 한 가지 해답은 자기자비(Self-compassion)를 활용한 방법입니다. 자기자비는 △자기 자신을 친절히 대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며 △누구나 실수 또는 어려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점 등을 인지하는 자세로.. 더보기